공공미디어연구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정보공유 > 정책브리핑
제 목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2: 철도노조 파업 , 정부와 사측만 바라보는 왜곡된 언론보도
이 름 관리자 등록일 2009-12-02 13:14:29 조회수 4143
첨 부 eng_convert1.hwp ( 399 KB ), Down: 915
철도노조 파업 , 정부와 사측만 바라보는 왜곡된 언론보도

 철도노조 파업이 시작된 이래 주요 언론의 보도 행태는 일방적으로 정부와 사측의 입장에선 보도로 일관하고 있다. 관련하여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3개 종합일간지와 매일경제신문과 한국경제신문 등 2개 경제전문지를 대상으로 11월23일(월)부터 11월30일(월)까지 신문이 발행되지 않는 일요일을 제외하고 7일 간 관련기사를 수집, 분석하였다.

제목달기를 통한 ‘사실왜곡’
노조에 강경 대응 주문  

 철도노조 파업과 관련해 분석대상 신문들은 제목에서부터 노조에 대한 악의적 제목달기를 일삼고 있다. 사측의 입장만 제목으로 뽑아 편향된 제목달기를 하는 것은 기본이고, 사설과 오피니언의 제목에서는 노조에 대한 강경한 압박을 주문하고 나서, 언론이 갈등적 사안에서 조정자로서 역할하기보다는 철도공사와 정부의 편에 서서 이른바 ‘선수’로 뛰고 있는 형국이다.
 조선일보는 11월26일자 <“연봉 9000만원 넘는 직원이 400명…긴축하자 했더니 노조 협상장 나가”>의 제목에서, 사측의 일방적 주장을 직접인용 형식으로 다루었다. 제목에 있어 사측의 주장만을 반영하는 편향된 제목달기를 하고 있다.
 동아일보는 11월26일 사설 <노조와 부딪치더라도 잘못된 단체협약 고쳐야> 제목을 통해, 철도공사측에 노조에 대한 강경한 탄압을 요구하는 내용을 제목으로 뽑고 있다.
 한국경제 역시 11월30일 사설 <[사설]“철도파업 적당히 타협하고 넘어가서는 안 된다”>의 제목을 통해, 철도파업 노동자들을 윽박지르는 식으로 강경대응을 주문하는 내용을 제목으로 뽑고 있다. 매일경제도 11월28일자 사설 <철도파업 고질병 이젠 뿌리 뽑을 때 됐다> 제목을 통해, 철도노조의 파업을 ‘고질병’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신문들은 또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부풀리는 표현을 제목으로 뽑아 사실관계를 왜곡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번 파업 과정에서 물류운송에 차질이 크다는 점을 공략, 화물운송 ‘올스톱’ ‘스톱’ 등의 단정적 표현을 쓰고 있다. 그러나 화물열차의 일부 차질이 있었으며, 화물차를 통해 운송하거나 정부와 군에서 화물운송에 필요한 차량 등을 공급하고 있는 상황은 반영하지 않는 등 왜곡된 제목달기를 하고 있다.
 분석대상 신문 가운데 특히 중앙일보는 제목에서부터 노조의 파업이 경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식으로 보도하고 있다. ‘노조의 밥그릇 지키기 파업’이라든지 ‘경제회복에 재 뿌리기’ 등의 표현이 대표적이다.

정부 및 사측 ‘일방적 편들기’ 보도  

 신문들은 철도공사 또는 정부 측 입장만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보도 행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조선과 동아는 철도공사 허준영 사장의 인터뷰를 비중 있게 싣는 방식으로 공사 측의 입장을 반복 전달하는 편파성을 보였다.
 조선일보는 11월 26일 <"연봉 9000만원 넘는 직원이 400명… 긴축하자 했더니 노조 협상장 나가">기사에서 한국철도공사 허준영 사장 인터뷰를 전면 보도했다. 철도 노사 양측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상황에서 철도공사 사장의 인터뷰를 전면적으로 실은 것 자체가 노조에 편파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귀족노조’ ‘왕족노조’ 비판,
노동자를 파렴치 집단으로 묘사

 신문들은 철도노조 파업 직후부터 전형적으로 노조를 공격하는 보도형태 가운데 하나인 ‘귀족노조’ ‘왕족노조’ 라며 비판하고 있다. 또한, 신문들은 취업이 어려운 시대 운운하며 노동자들의 쟁의 행위가 우리 사회에서 일탈적 행위 내지는 파렴치한 행위를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보도하고 있다.
 조선일보 11월 28일 <철도노조 전면파업"법과 원칙 따라 대응하라">기사에서 ‘chosun.com’이라는 자사 사이트를 이용해 철도 노조를 “왕족 노조”라 비판하는 내용이 많았다고 소개하고 있다. 중앙과 한국경제는 철도노조원들을 향해 ‘고액연봉’ ‘평생직장’ 등으로 칭하면서 파업의 이유나 목적 등 본질적이고 구조적인 부분보다는 인신공격성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28일 철도노조를 가리키며 공기업 파업을 문제 삼은 발언에 대해 신문들은 대대적으로 인용해 노조를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중앙일보와 한국경제는 각각 11월 30일 <철도 운송 차질 본격화>와 <일자리 보장된 공기업 파업…李대통령 "국민들 이해 못해">의 기사에서 28일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평생직장을 보장받은 공기업의 노조가 파업을 벌이고 있다며 비판하고 있다.

‘시민불편’ 강조해 노조에 부정적 여론조성

 보수 신문사들이 노조 파업에 자주 이용하는 프레임이 바로 ‘시민 불편’이다. 특히 시민불편을 애써 강조하려다보니 연관성 없는 전철 기계고장도 마치 철도노조의 파업 때문이라는 식의 비이성적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다. 동아일보는 11월 28일 <“파업에 놀랐나” 전철 기계 고장> 사진기사에서 전철 기계 고장을 파업 때문인 것처럼 연관 짓고 있다.


동아일보 11월 30일 <파업에 놀랐나” 전철 기계 고장>,  
사진기사, 연합뉴스
첨부파일

 신문들은 또 노동자들이 시민들을 볼모로 파업을 벌이고 있다며 모든 책임을 파업 노동자들에게 떠넘기고 있다. 중앙일보는 11월26일 사설 <철도노조 파업, 법과 원칙대로 처리해야>에서 철도노조의 파업으로 인해 교통대란으로 번질 우려도 있다며 위기감을 조장하면서 국민 편의를 볼모로 철도 파업을 벌이고 있다며 철도노조를 비판했다.
 
경제 악영향, 공사 경영 피해 중심 보도

 보수 신문들이 자주 악용하는 프레임은 바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파업으로 국내 경제가 위축된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회사 경영이 악화된다는 프레임이다.
 신문들은 철도노조 파업이 한국철도공사의 경영을 악화시키는 것으로서 단지 노조의 “밥그릇 지키기”라고 프레임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11월 30일 <군대 가도 기본급 70% 주고… 노조간부 人事땐 동의 얻어야> 기사에서 노조 전임자들이 고액 봉급은 타가면서도 “국민의 발인 철도를 볼모로 잡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매경도 11월 30일 <상식 벗어난 코레일 노사>기사에서 철도공사는 경영 합리화가 필요한 상황인데도 철도노조는 자신들의 기득권을 저해하는 어떠한 협상에도 응하지 않고 파업에 돌입했다고 말한다.
 중앙일보의 철도노조 파업 보도의 가장 큰 특징은 철도 파업으로 인한 국가 경제적 손실을 부각하여 보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앙일보는 파업으로 인해 물류수송이 중단되고 이로 인해 국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경제적 위기 프레임을 부각함으로써 노조의 파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파업 강경대응 주문하는 사설

 신문들은 철도 노조와 파업을 불법 파업으로 몰아가고 있다. 특히, 동아일보는 철도노조의 파업을 두고 ‘철도병’이라는  표현을 동원해 악의적인 이름붙이기를 하고 있다.
 동아일보는 11월 26일 <노조와 부딪치더라도 잘못된 단체 협약 고쳐야> 기사에서 허준영 사장의 말을 인용해 철도 노조 파업을 “철도병”이라고 부르는가 하면, 11월 30일 <철도노조 ‘파업 대가’ 치르게 국민이 더 참자>라는 오피니언에서 파업을 “철도 파업병”이라며 “화물운송을 볼모로 잡는 철도노조의 못된 버릇”이라고 비난하였다.
 매경도 11월 28일 <철도파업 고질병 이젠 뿌리 뽑을 때 됐다> 사설에서 철도 노조 파업을 매년 연례행사인 “고질병”이라고 폄하하였고, 11월 30일 <상식 벗어난 코레일 노사> 기사에서는 파업이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철도 노조 집행부라고 말하면서 시민을 “루저(Loser) 서민”으로 만든다고 비난하였다.  
 중앙일보의 11월 27일 사설 <철도노조 파업, 법과 원칙대로 처리해야>, 한국경제는 11월 30일 사설 <“철도파업 적당히 타협하고 넘어가서는 안된다”>을 이용해 철도노조 파업과 관련 불법에 대해 엄정하게 처벌할 것을 주문하고 나섰다.

방송3사의 보도 역시, 시민불편, 물류대란 프레임으로 보도

○ 11월 26일, 파업이유 어디도 설명 없어

 철도노조 파업관련 SBS 8뉴스는 "대체인력 투입으로 여객열차는 대부분 정상운행됐지만, 화물은 사실상 올 스톱 상태"라고 뉴스를 시작했다. 의왕시 오봉역을 찾은 기자는 "이곳 오봉역은 하루 평균 62대의 화물열차가 오갔지만, 오늘은 사실상 운행이 전면 중단됐다"고 말했다. 이런 것이 대체적으로 철도, 지하철 노조의 파업의 일관된 보도형태다. SBS만이 아니다. MBC 뉴스도 "전국철도노조가 무기한 파업을 시작했고 첫 날인 오늘 여행객들은 큰 불편이 없었지만, 화물열차 운행에는 차질이 많았다"고 했고, KBS는 "여객 수송은 차질이 없었지만, 화물 열차는 거의 멈췄다"고 TOP 뉴스로 전했다.

○ 11월 27일, 시민불편, 운송대란 프레임

 방송 3사는 물류대란을 중심으로 철도노조 파업을 역시나 또 전달하였다. KBS는 두 꼭지나 물류와 여객 운행 차질에 대해 전달하였다. 물론 MBC와 KBS가 철도노조 부위원장의 인터뷰를 통해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어제 지적한 바와 같이 그 과정과 사정에 대해서 역시 설득력이 부족하다.

○ 11월 29일, KBS 피해액 22억 원?

 KBS는 뉴스에서 “사흘 동안 화물운송 차질로 인한 피해액은 22억 원”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화물운송 차질로 인한 피해액이라는 것이 추정된 것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22억 원이라는 수치의 의미가 노조에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또 KBS 뉴스에서 “지난 2006년 3월의 나흘간 철도파업 기록을 깨는 역대 최장기 철도파업으로 기록될 전망입니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전형적인 부정적 여론 설파 작업에 다름 아니다.
 논리적으로 볼 때, KBS가 역대 최장기 파업이라는 언설을 하려거든 이번 파업이 역대의 파업과 어떤 지점에서 차별성이 있는 지를 동시에 설명해야 한다. 따라서 뉴스가 이번 파업이 역대 최장기 철도노조 파업이라는 사안을 뉴스로 다루려거든, 기존의 파업과 다른 양상과 성격, 양측의 팽팽한 입장, 이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 등 까지 고려하여 역사적이고 종합적인 시각으로 다루었어야 한다.


<발행처: 민주노총, 공공미디어연구소>


46 노동관련 보도 모니터링 No. 11 : 보수언론의 왜곡보도와 비판 여론 앞장서기 행태 관리자 2010-02-17 4129
45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10: 조선일보의 “노동운동의 ‘2010 체제’ 기획특집기사 [5] 관리자 2010-02-10 3215
44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9: 보수언론식 악의적 묘사와 자의적 해석 [3] 관리자 2010-02-02 3023
43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8:전교조 죽이기에 적극 가담한 보수언론의 보도행태 [22] 관리자 2010-01-27 2982
42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7:조선일보 최현묵 기자의 노동보도 방식 [2] 관리자 2010-01-19 3696
41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6:사안별 보수언론의 왜곡된 프레임과 보도 행태 [65] 관리자 2010-01-12 3012
40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5: 보수 신문의 근거 없는 자의적 해석, 악의적 추측 보도 [2] 관리자 2010-01-06 2538
39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4: 편파, 왜곡, 근거없는 보도 그리고 ‘침묵’ [10] 관리자 2009-12-24 2583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2: 철도노조 파업 , 정부와 사측만 바라보는 왜곡된 언론보도 [2197] 관리자 2009-12-02 4144
37 노동관련보도 모니터링 No.1: 노사정 6자회의 보도에 '노'는 없었다. 관리자 2009-12-02 2404
   1  |  2  |  3  |  4  |  5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