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디어연구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정보공유 > 연구원 칼럼
제 목 전경련의 '노조전임자 억지 논리', 언론은 받아쓰고
이 름 관리자 등록일 2009-12-04 17:06:31 조회수 3132
전경련의 '노조전임자 억지 논리', 언론은 받아쓰고  

<미디어스> 2008년 12월 4일                                                                       공공미디어연구소


지난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주요 대기업 노조전임자 평균 연봉 6,327만 원, 1억 원 넘는 경우도>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노조전임자가 높은 급여를 받고 있다는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튿날인 3일, 전국종합일간지와 경제지는 전경련의 보도자료를 인용, 관련기사를 일제히 쏟아냈다. 한 결 같이 고연봉의 노조전임자를 비난하는 목소리였다.

복수노조와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문제로 노사정이 상반된 주장을 내세우고 있는 현 시점에서, 쟁점의 이해당사자인 전경련은 노조전임자를 ‘고액 연봉을 받는 노동귀족’으로 묘사함으로써 자신에게 유리한 여론을 조작하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보도자료에 담았다. 여기에 반(反)노동 신문들은 전경련의 발표와 입장만을 앞 다투어 보도하면서 일방의 의견을 여론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형적인 기득권과 보수언론의 ‘핑퐁식’ 여론조작의 행태다. 기득권의 주장이 보수언론에 의해 대중에게 확산되면서 ‘여론화 작용’을 거쳐 노조전임자 임금 금지 법안의 찬성 여론을 형성하기 위한 포석을 깔고 있는 것이다.  


전국종합일간지와 매일경제신문과 한국경제신문 등에 실린 관련기사들은 다음과 같다.

○ 전국종합일간지

조선일보 <대기업 노조 전임자 평균 연봉 6327만원> 조중식 기자
동아일보 <노조위원장 10명 중 4명 임원급 대우> 주성원 기자
중앙일보 <노조전임자 평균 연봉 6327만원>
서울신문 <노조전임자 평균 연봉 6327만원> 안동환 기자
국민일보 <노조전임자 평균 연봉 ‘6327만원’> 이명희 기자

○ 경제지

매일경제 <일부 노조 전임자 연봉 1억원 넘어> 김경도 기자
한국경제 <노조위원장 10명 중 4명 임원급 대우> 송형석 기자

이번 노조전임자 임금 관련 조사를 보도하는 언론의 행태를 살펴보면 언론의 악습 중 하나인 ‘보도자료 받아쓰기’가 그대로 나타난다. 먼저 관련기사의 제목을 살펴보면, 전체 7건의 관련기사 중 4건의 기사제목이 <노조전임자 평균 연봉 6327만원>이었고, 2건의 기사제목은 <노조위원장 10명 중 4명 임원급 대우>였다. 언론사들마다 전경련이 배부한 보도자료의 메인제목과 소제목을 그대로 차용해 보도하다보니 똑같은 제목의 기사가 여러 신문에 나타나게 된 것이다.

기사의 내용도 다르지 않다. 대부분의 기사들이 별다른 확인 절차 없이 기사 전반에 걸쳐 보도자료에서 제시하는 수치를 그대로 인용해 보도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똑같은 문장이 여러 신문사의 기사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전경련은 보도자료에서 매출액 상위 35개 기업의 노조 전임자 임금을 6,327만원이라고 밝히면서 이를 전체 노동인구 일반의 평균임금과 비교하는 ‘억지’를 쓰고 있는 셈이다. 기본적으로, 비교를 하려면 비교대상 간의 유사함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은 상식적인 수준이다.

전경련의 이 같은 엉터리 조사결과를 신문들이 제대로 독해하지 못했을 리 없다. 하지만 언론은 이를 여과 없이 보도하면서 노조전임자 임금이 ‘국내 근로자 연봉의 2배 수준’이라는 논리를 양산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대기업 노조 전임자 평균 연봉 6327만원> 기사에서 부제를 ‘국내 근로자 연봉 2배 수준’이라고 뽑았고 한국경제 역시 <노조위원장 10명 중 4명 임원급 대우> 기사에서 ‘전경련 조사, 평균연봉 조합원의 2배’라는 부제를 달았다. 이는 상위 35위 기업의 노조전임자 급여를 전체노동자 연봉과 비교하면서 노조전임자가 ‘고액연봉자’라는 인식을 주기위한 의도가 깔려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노조전임자의 연봉은 해당 사업장 조합원의 평균 연봉 수준으로 책정되기 때문에 사업장에 따라 노조전임자의 연봉도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 전경련의 발표만을 인용해 평균 노동자 연봉의 2배라고 언급하면서 노조전임자 집단 전체를 고액연봉을 받는 노동귀족으로 둔갑시키려는 악의적인 왜곡에 해당한다.  

무책임한 ‘일자리 창출’주장

신문들은 전경련의 엉터리 조사결과를 근거로 노조전임자 입금지급 금지를 할 경우 일자리 2만 개를 창출할 수 있다는 식의 여론몰이도 서슴지 않는다. 동아일보와 국민일보는 전경련 측 주장을 인용해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로 인해 일자리 2만여 개를 창출할 수 있다”는 기사를 실었다. 이는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에 대한 찬성 여론을 형성하기 위한 전경련 측의 주장일 뿐이다. 그런데 언론은 이를 아무런 확인절차 없이 그대로 인용 보도하면서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 법안 찬성 여론몰이에 앞장서고 있는 모습이다.

노조전임자가 수행해 온 노사관계의 가교역할, 노동자 일반의 이해를 대변하는 창구 역할 에 대해서 이들 신문들은 단 한 줄도 언급하지 않았다.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편파적이고 편향된 사실만 선별해 보도하는 행태는 이들 신문이 더 이상 언론이길 포기한 것과 다름없다.


47 소격동에서 충정로로 옮기고 나서 관리자 2010-03-11 2333
46 방송장악 '끝내기' 수순과 MBC 사태 관리자 2010-02-18 1979
45 미국인 49% 폭스 뉴스 가장 신뢰 관리자 2010-02-16 2462
44 방송통신위 기억력은 한 달? 관리자 2010-02-09 2189
43 신문산업의 우울한 2010 전망 관리자 2010-01-27 2853
42 콘텐츠진흥원,"올해도 콘텐츠 산업 성장세 지속" 관리자 2010-01-27 1936
41 KBS, 수신료 인상이 아닌 국가 보조금을 신청해라! 관리자 2010-01-21 2354
40 보수언론에게 교원평가제 시행이란? 관리자 2010-01-13 2186
39 포털 '팔 비틀기' 대신에 가전업체 디지털전환 부담부터! 관리자 2009-12-29 2322
전경련의 '노조전임자 억지 논리', 언론은 받아쓰고 관리자 2009-12-04 3133
   1  |  2  |  3  |  4  |  5  |  6  |  7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