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어느 때보다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류미디어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물론,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언론매체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아프리카를 통해 확장된 1인 미디어에 대한 의미 역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과연 언론인을 희망하는 대학생들은 무엇을 토론해야 할까?
○ 과연 주류미디어의 회의감과 피로감을 애써 외면할 수 있을까? 그러나 촛불은 공영방송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고, 언론의 자유가 정치권력의 탐욕의 대상이 되는 것을 거부한다. 조중동에 대한 구체적인 압박과 동시에 한겨레와 경향신문을 지지하며 ‘진실’의 가치를 발견하고 있다. 오히려 현재는 1인 미디어의 폭발과 언론의 자유/표현의 자유의 확산은 주류미디어를 보완하고, 공공적으로 재구성하고 이해하기에 중요한 시점이다.
○ 따라서 공공미디어연구소는 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공공적 영역을 이해하고, 주류미디어의 공공적 의미를 재구성하고, 언론인의 책임과 역할에 대해 토론하기 위하여 예비언론인을 희망하는 대학생들과 함께 캠프를 진행하고자 한다.
○ 캠프를 통해 미디어 공공성의 철학에 대해 이해하고, 언론인으로써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자세에 대해 탐구한다. 더불어 현장 언론인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또한 다양한 주제별 특강과 시청각 교육 등을 통해서 새로운 감수성을 자극하여 언론인을 희망하는 대학생들에게 행동 가능한 미디어 캠프를 경험코자 한다.
<8월 21일(목)>
1. 개회 및 오리엔테이션
○ 내용 : 캠프 취지 및 세부프로그램 안내
2. <강의> 미디어공공성의 이해
○ 강사 : 최상재(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 내용 : 미디어 공공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및 현재 미디어 현황
3. <강의> 촛불과 1인 미디어
○ 강사 : 전규찬(공공미디어연구소 이사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교수)
○ 내용 : 최근 촛불집회를 통해 드러난 1인 미디어의 의미
<8월 22일(금)>
1. 현장간담회 준비토론
○ 내용 : 현장간담회를 가기 전 질문를 만드는 과정 / 현장간담회의 경우 2팀으로 나눠 진행
2. 현장간담회1.
○ 한겨레(김보협 노조위원장)
○ 경향(이재국 미디어팀장)
3. 제작현장탐방
○ 내용 : SBS <웃음을 찾는 사람들> 카메라리허설 탐방
4. 현장간담회2.
○ KBS(이세희 : 상상플러스 / 곽정환 : 전설의 고향)
○ MBC(김보슬 : PD수첩 / 한재희 : 손석희의 시선집중)
<8월 23일(토)>
1. <강의> 한국사회 이해하기
○ 강사 : 홍성태(상지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내용 : 현재 한국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이해
2. <강의> 글쓰기 방법론
○ 강사 : 안영춘(미디어스 기자)
○ 내용 : 글쓰기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법
3. <강의> 기획기사의 작성방법
○ 강사 : 고재열(시사in 기자)
○ 내용 : 기사작성에 대한 A~Z
4. <영화> 어느 뉴스페이퍼맨의 죽음
○ 감독 : 김은경
5. <강의> 프로그램 제작방법
○ 강사 : 김진혁(EBS 지식채널e PD)
○ 내용 : 방송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