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디어연구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제 목 “중국 콘텐츠산업의 굴기(崛起), 한국의 대응전략은 무엇인가” 토론회
이 름 관리자 등록일 2016-01-15 15:53:35 조회수 11285
공공미디어연구소는 2016년 1월 20일 수요일 오후 2시 30분부터 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중국 콘텐츠산업의 굴기(崛起), 한국의 대응전략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주최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계자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다음-


“중국 콘텐츠산업의 굴기(崛起), 한국의 대응전략은 무엇인가”


1. 배경

∘ 중국發 국내 방송통신산업의 성장축 붕괴 위기
- 국내 방송통신산업의 성장축은 △플랫폼, △콘텐츠,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특히 콘텐츠와 디바이스 부문의 수출을 통해 산업 성장을 주도해 왔음.
- 그러나 최근 콘텐츠, 디바이스의 주력 수출국가였던 중국이 국가 차원에서 콘텐츠, IT 부문의 굴기(崛起)전략을 강화하면서 국내 관련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콘텐츠 부문은 중국 자본을 계기로 한 “제작 활성화”와 “하청산업화”라는 양면적 시각이 존재함.
- 제작비를 외부에서 확보해야 하는 콘텐츠 제작사의 입장에서 중국의 거대 자본은 매력적인 투자자라고 할 수 있음. 광고매출의 하락, 경기침체 등으로 제작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외부로부터의 제작비 유입은 제작현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음.
- 그러나 한중 FTA의 공동제작 협상 타결 등은 콘텐츠 제작 부분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가능성도 존재함. 이는 제작부분의 인력 및 사업자의 유출과 방송 콘텐츠 제작 경쟁력 약화, 국내 시장의 낙수효과 상실 및 외국계 콘텐츠 점유율 증가 등을 유발하여 문화주권의 위기를 초래할 우려도 존재함.

∘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SKT의 CJ 헬로비전 합병 관련 논의도 결국, 플랫폼과 콘텐츠산업의 경쟁력 강화 필요성에 대한 논의로 귀결될 수밖에 없음.
-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3대 성장축에 대한 투자를 통해 방송통신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성장 활력이 마련될 것인가의 여부가 핵심이기 때문임.
- 또한 이러한 계기를 국내 콘텐츠산업, 나아가 방송통신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연결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발전적 모색이 필요함.

2. 토론회 구성

∘ 일시 : 2016년 1월 20일(수) 14:30
∘ 장소 : 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
∘ 주최 : (사)공공미디어연구소

∘ 사회 : 양문석(공공미디어연구소 이사장)

∘ 발제 : 박상호(공공미디어연구소 연구팀장/언론학 박사) -한중 FTA 발효에 따른 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 방향

∘ 종합토론
- 김경달(Neo Touch Point 대표)
- 김운호(도레미엔터테인먼트 대표)
- 김 혁(SBS 플랫폼사업팀장)
- 탁용석(CJ 헬로비전 상무)


공지 <토론회> 방송 콘텐츠 산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관리자 2016-05-17 8640
[세미나/토론회] “중국 콘텐츠산업의 굴기(崛起), 한국의 대응전략은 무엇인가” 토론회 관리자 2016-01-15 11286
공지 <토론회> 방송산업 상생을 위한 OTT 서비스 규제의 타당성 검토 관리자 2015-12-04 11891
공지 유권자 중심의 TV토론 법·제도 개선 세미나 관리자 2015-08-20 11269
공지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공정한 거래 문화 조성방안 토론회 관리자 2015-07-14 8974
공지 <인사 공고> 정미정 부소장 임명 관리자 2015-06-22 8171
공지 <지상파 UHD 방송의 보편적 시청을 위한 700MHz 주파수 할당 방안> 토론회 관리자 2015-06-08 5295
공지 <토론회> 방송통신 분쟁에 대한 직권조정 및 재정제도 평가 관리자 2015-04-06 5582
공지 <공지> 공공미디어연구소 임원선임 관리자 2014-07-22 7260
공지 <공지> 2014년도 공공미디어연구소 임시총회 관리자 2014-07-16 3225
   1  |  2  |  3  |  4  |  5  |  6    
̼